본문 바로가기

Idea

노숙자, 내 집 마련 캠페인, I Am Here

지하철역 계단을 올라가다 보면, 가끔 계단에 걸터앉아 구걸하는 노숙인 아저씨와 마주치게 되는데요. 가끔 돈을 드리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고 무심코 지나칠 때가 더 많아집니다. 도움을 줄 수 있는 상황에 있는 사람이라도 도움을 받는 사람이 어떠한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는지, 내가 기부한 돈이 어떻게 쓰이는지에 대한 정보가 없어 쉽게 도와주지 못하고 지나치게 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안타깝게도 디자이너 김황씨의 cocoon작품과 표절논란을 겪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얼마전 대학생 동아리 비온대지의 '프로젝트 고치'가 선보여 노숙인의 수면환경을 개선하는 사례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미국의 Austin 지역에서는 단순히 수면환경만을 개선한 것이 아닌, 전반적인 노숙인 환경의 근본적인 문제를 스토리텔링을 담은 구걸캠페인(?)으로 해결했다고 합니다. 노숙인와 저소득층을 돕는 지역구호단체 Mobile Leaves and Fishes(MLF)와 T3 디자인 에이전시는 독특한 캠페인을 실행했는데요, 캠페인의 이름은 바로 'I Am Here'(내가 여기 있어요)입니다.








실제 노숙자인 Danny를 모델로 하여, I Am Danny, I Am homeless, I Am Here.라는 카피가 적힌 빌보드의 난간통로에서 지내도록 하였습니다. 그리고 Danny와 그의 아내 Maggie가 집을 가질 수 있게 기부할 수 있는 문자번호를 빌보드에 남겼습니다. 문자 한 건 당 10불이 기부되고, 1,200개의 문자가 모이면 Danny는 그의 집을 가질 수 있었고, 사람들의 궁금증과 관심을 일으킨 I Am Here 캠페인을 통해 그는 결국 캠퍼밴으로 만들어진 그의 집을 가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Danny는 I Am Here 캠페인을 통해 집을 가지기 전에 약 15년 동안 노숙생활을 했다고 합니다. 철기공이었던 그는 벌이가 시원치 않아 하루 이틀 정도를 구세군회관에서 지내게 되었답니다. 불운으로 그와 아내는 가지고 있던 소지품을 도둑맞게 되고 중요한 신분증도 잃어버리게 되었답니다. 신분증 없이는 직업을 가질 수 없었고, 직업이 없이는 신분증을 다시 만들 수 있는 돈을 벌지 못했다고 합니다. 연락할 가족도 없어 결국 노숙생활을 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제라도 집을 가지게 된 것이 5년 전 뇌졸중으로 건강이 예전 같지 못한 아내와 Danny에게는 정말 다행인 일입니다.







현재 미국에는 약 350만 명의 노숙인가 있고, 여성 노숙인의 8분의 1은 성폭행을 경험하고, 전체 노숙인의 46%는 심각한 건강 문제에 노출되어 있으며, 69%는 단순히 집이 없다는 이유만으로 체포된 경험이 있다고 합니다.


Danny를 시작으로 한 I Am Here 캠페인은 현재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마지막 동영상은 Mobile Loaves and Fishes를 통해 집을 가지게 된 노숙인들이 '집'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그들의 생각을 말하고 있는데요. 커피를 좋아하는 아주머니에게는 다시는 커피를 마시기 위해 캠프파이어를 피워도 되지않고, 30초만에 커피를 만들어 먹을 수 있는 편안한 삶의 공간이기도 하고, 한 사람으로 살아가는 것을 정의하는 공간이기도 합니다.









I Am Here캠페인은 그 이름과 같이 한 인간으로서의 존재를 찾아주는 캠페인이라고 생각되는데요. 우리가 도와주고 싶은 마음이 있어도 무심코 지나치게 되는 어려움을 해결해준 스토리텔링의 힘을 확인하게 됩니다.



자료출처: http://www.iamheremlf.org


by 토종닭 발자국



공감하시면 아래 손가락 모양 클릭^^ - 더 많은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