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ocial

제돌아 미안해 ; 제주도 남방 돌고래의 이야기

 


여러분 <더 코브: 슬픈 돌고래의 진실>라는 다큐터리 영화에 대해서 아시나요?


일본의 작은마을, 타이지 그곳이 감추려 했던 잔인한 비밀을 파헤치고 돌고래 포획의 저지하는 '릭 오베리' 의 모습을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인데요. 비밀스럽게 자행되던 돌고래 사냥의 진실을 긴박감 넘치는 화면 속에 담아내며 전세계의 주목을 받았었지요.


1960년대, 전세계적인 돌고래 사랑의 열풍을 일으켰던 미국TV시리즈 '플리퍼'. 그 TV시리즈를 위해 돌고래를 직접 잡아 훈련을 시켰던 '릭 오배리'는 돌고래 조련사들에세 대부와도 같은 존재였다고 하네요. 그런 그가 돈과 명성을 포기하고 야생방사 운동에 뛰어든 이유는 자신이 조련하던 돌고래 케이시의 자살 때문이라고 합니다.

 


 


“과학적으로 증명된 건 아니지만, 지금도 난 자살이라고 믿어요. 돌고래는 물 위로 올라와 숨을 쉬어야 하는데, 그 날 케이시는 작정한 듯 올라오지 않았어요.”


돌고래는 가족,사회생활을 하기 때문에 포획하면 가족을 해체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고 합니다.하루 최고 100km 이상을 헤엄치고 인간의 기술로 만들 수 있는 수족관의 1000배 이상 광활한 곳을 누비고 다니며, 다양한 물고기를 물고기를 먹는 돌고래가 비좁은 수족관에서 한두가지의 먹이로 살아야 하니 그 스트레스는 말로 표현 못하겠죠.

 



 

얼마전 '릭오베리'가 동물보호단체인 동물자유연대 초청으로 한국에 왔는데요. 제주 앞바다에서 불법 포획돼 경기도 과천시 서울대공원에서 공연하다 지난 3월 야생방사가 결정된 남방큰돌고래 ‘제돌이’ 를 돕기 위해서입니다. 마침 그가 온 당일 서울대공원은 돌고래쇼를 중단하는 대신 생태설명회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는데요. 돌고래쇼에 대한 찬반 의견은 팽팽했습니다. 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돌고래쇼를 지속해야 한다는 의견은 52%,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은 40%로 나온 반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선 폐지가 56.8%로, 지속 23.2%를 갑절 넘게 앞섰습니다.


시민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돌고래쇼 지속에 대한 찬성이 52%나 나왔다니 정말 안타깝지 않나요?  생각해 보세요. 1평짜리 방에서 매일 한 두가지의 음식만 먹으며 생활한다면 여러분은 버틸 수 있겠습니까?   돌고래들은 그와같은 생활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렇게 만든게 바로 우리들이죠. 


 

 


다행이도, '릭 오베리'와 같은 뜻을 가진 많은 사람들의 도움으로 앞으로 '제돌이'는 야생방사지에 설치되는 가두리 안에 살면서 차가운 바닷물을 익히고 산 생선을 잡아먹는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 야생으로 돌아가기 위한 예행연습을 위해서죠. 산 생선을 자유롭게 잡고 야생의 바다가 편안해질 때, 제돌이는 비로소 가두리의 문을 박차고 나갈 수 있다고 하네요.

 

 

 

 

제돌이의 야생방사 후보지로는 제주도 주변 여러곳이 거론 되고 있는데요, 제주시 조천읍 북촌리의 다려도가 강력한 후보지라고 합니다.다려도는 육지에서 약 1km 떨어진 무인도인데 사람이 살지않고 수심도 4~6m정도라 제돌이가 헤엄치기에도 충분하다고 합니다.


일부 보수신문을 중심으로 포획된 지 2년 이상 된 개체는 성공 사례가 없다는 점과 야생에 돌아갔을 때 원래 무리에게 공격받을 것 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지만, 오베리와 사흘동한 동행한 전문가 세사람은 모두 제돌이가 바다에 성공적으로 돌아갈것이라고 일축했는데요. 특히, 약 20년전 브라질의 한 수족관에서 7년 동안 같혀 있는 돌고래 '플리퍼'의 야생방사를 예를 들며 제돌이의 야생방사 성공을 확신 했다고 합니다.

“그때 방류할 때 브라질 국기를 표시해뒀죠. 2년 뒤에도 발견됐어요.”

“2년 미만 개체만 성공했다는 건 논문 이야기예요. 논문만 안 나왔을 따름이지 그 이상 된 개체에서도 성공한 사례가 많아요.”


그들은 제돌이가 야생으로 안전하게 돌아가기 위해 세 가지를 강조했습니다.


첫째, 산 생선 공급 등 가능한 야생적응훈련부터 당장 시작하는 것

둘째, 사회생활을 하는 돌고래의 습성상 다른 돌고래와 함께 방사하는 게 이상적이라는 점 

셋째, 돌고래와 인간 사이의 접촉을 최대한 줄여야 하기 때문에,지역 주민들과 협의가 중요하다.

 


 

 

 


얼마전 1박2일이라는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에서 제주도 남방돌고래에 대해서 나왔는데요. 현재 남아있는 개체수는 114마리 뿐이라고 합니다. 천신만고 끝에 광활한 바다위를 자유롭게 헤엄치는 남방돌고래 떼를 겨우 카메라에 담은 모습이 정말 감동적이었는데요,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정말 그림같은 모습이었죠. 우리가 눈요기를 위해 그들의 자유를 뺏을 권리가 있을까요? 우리가 간과하는 많은 부분들 때문에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정말 소중한것들이 하나 둘 사라져 가고 있습니다.


2년전 겨울, 디자이너 이명우씨와 문광진씨는 '주변의 사라져가는 소중한 것들에 대해 알리자!' 는 뜻을 함께해 청계전 길을 따라 퍼포먼스를 했다고 하는데요, 그 메세지가 '제돌이' 이야기와 함께 할 수 있을 듯 하여 소개 하고자 합니다.

 


 


처음 그들이 청계천 길을 따라 물고기 그림을 그리고자 했을 때, 아크릴 물감, 락카를 이용한 스텐실 등의 1차원적인 생각에 그쳤다고 하는데요. 오랜 고민과 진정성에 대한 토의 결과 물을 이용한 스텐실을 선택 했다고 합니다. 청계천 물을 분무기 담아 땅에 뿌려 젖은 땅과 마른땅의 명암 차이를 통해 물고기를 나타내고 시간이 지나 말라가는 물고기의 모습을 통해 청계천을 지나는 많은 사람들에게 사라져 가는 소중한 것들에 대한 메세지를 전달이 목적이었다고 하네요.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건 사라져 가는 소중한것에 대해 관심을 갖고 안타까움을 갖는 마음이 아닐까요?

 

(자료출처: 한겨레 뉴스, 환경일보, KBS 2TV)

 

by 고라니발자국

 

 

 

공감하시면 아래 손가락 모양 클릭^^ - 더 많은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